fiduciary responsibilities 라는 생경한 제목을 단 글이 제리 포넬의 혼돈의 장원 에 올라왔다. 원문은 번거로운 등록절차를 필요로 하는데, 대목을 짧게 옮겨본다.
애플이 아이팟에 파이어와이어 케이블을 넣지 않는 까닭으로 내가 '신탁 사유'라는 용어를 쓰자 한 동료가 물었다. 설명을 해야할듯. 세상의 고통을 치유하고 위험을 없애려는 성급한 노력의 일환으로, 우리는 기업 이사들의 권한을 계속해서 제한하고 있다. 주주의 소송을 수월하게 했고,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에 대해서는 이사 개인의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모든 것이 '수탁자의 의무'라는 이름으로 이루어졌다. 기업의 이사와 간부들은 주주의 위임을 받는 만큼 그에 따라 특별한 의무를 져야하지 않겠는가 하고. 그리하여 이사들은 단기 수익을 최대화해야 한다는 압력을 받게 된다. 거기에다 흔히 보는 스톡 옵션을 더하면 주가에 대한 압박은 더 높아진다. 장기적인 성장은 더 이상 문제가 아니다, 적어도 그다지 큰 문제는. 지출을 줄이고 이번 4분기의 수익률을 과시하는 것이 새로운 목표가 된다. 물론 수익률 성장으로 받는 커다란 보너스는 반납하지 않는다, 단기적인 최적화가 장기적인 파국을 가져오더라도. 한 시나리오를 가정해 보자: 떠오르는 새 CEO가 있다. 그는 연구부서를 폐쇄하고 지출을 절감한다. 판매에 돈을 좀 쏟고, 매출이 오르면 마케팅 직원들을 줄이기 시작한다. 그리고 기술 지원, 유지 보수, 품질 관리 차례대로. 지출은 훨씬 줄어든다. 매출이 좋아보인다. 수익률이 오르고, 주가가 뛴다. 넋이 나간 주주들의 만장일치로 커다란 보너스를 받는다. 잘난 이 사람은 다른 회사의 제의를 망설이다 못이기는 척 수락하고, '이 곳에서의 내 일은 끝났소'라는 주제의 인사와 함께 떠난다. 시간이 지나고 회사가 흔들린다. 고객은 더 이상 브랜드를 믿지 않고, 마케팅이 없어졌으니 매출도 떨어지며, 새로운 제품은 더 이상 없다. 주식이 곤두박질한다. 모두가 불행해진다, '내가 떠날때는 주가가 높았죠. 새 경영진 아래 일어난 일을 어쩌겠어요'라는 잘난 친구 마저. 실제 시나리오 하나: 톰 클랜시라는 보험 판매원은 해군 장교들과 친구였다, '이렇게 근사한 일을 하는 걸 누군가 알아야 하지 않겠나' 하는 생각으로 '붉은 시월을 찾아서'라는 책을 썼다. 미 해군, 미 해군 사관 학교와 연관된 비영리 기관인 미 해군 연구소에서 책을 펴냈다. 그들로서는 첫 소설이었다. 예상치 않게 대성공을 거두고, 클랜시는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다. 미 해군 연구소는 돈을 벌려고 하지 않았던 일에서 예상하지 않은 큰 수익을 얻었다. 클랜시는 곧 주류 출판사의 제의를 받고, 두툼한 계약금에 서명했다. 모두 축하드립니다. 잘 했네, 행운을 비네. 변호사들이 등장한다. 미 해군 연구소 이사회에 톰 클랜시의 인물들과 미래의 수익에 대한 소송을 건의한다. 이사회는 대략 "그래서요? 윤리적으로 요구할 것이 없잖소? 책을 펴냈고, 돈을 벌었소. 우리는 만족해요." 그게 아니라니까요. 당신은 수탁자의 의무가 있으므로 합법적으로 벌어들일 수 있는 만큼 벌어야 합니다. 클랜시를 기소해야 합니다. 아마도 그는 대결보다는 합의를 할겁니다. 미 해군 연구소의 몫을 요구할 의무가 있습니다. 그 후로 지저분하게 전개되었다. 몇몇 미 해군 장교들이 '비윤리적인 갈취'에 동참할 수 없다며 전역했다. 마침내 사건은 마무리 되었지만, 자세한 내역은 공개되지 않았다. '수탁'이라는 낱말을 쓴데는 신중한 이유가 있다는 얘기를 길게 늘어놓았다. 풍자인지 진지한 얘기인지 밝힐 의무는 없다고 본다. 날카로운 독자들은 구글 對 마이크로소프트의 그럴듯 한 전쟁에도 들어맞는 점이 있다는 것을 간파하리라.
|
|